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인터넷을 사용하는 데 필요한 기기로 무선으로 사용할 수 있게 도와준다. 일반 무선공유기는 한 개의 IP로 여러 명이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지만, AP는 건물의 각 층, 사무실별로 설치하면 사무실 내에서 자유롭게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안테나의 개수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범위가 정해지므로, 넓은 곳일수록 안테나가 많이 달린 제품이 좋다.
무선 액세스 포인트(wireless access point, WAP)는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와이파이, 블루투스 관련 표준을 이용하여 무선 장치들을 유선 장치에 연결할 수 있게 하는 장치를 가리킨다. WAP는 일반적으로 유선망을 거치는 라우터에 연결되며 컴퓨터, 프린터와 같은 무선 장치와 네트워크 상의 유선 장치 간 데이터를 중계할 수 있다.
무선 보안에는 WPA-PSK, WPA2, IEEE 802.1x/RADIUS, WDS, WEP, TKIP, CCMP (AES) 암호화가 있다.
무선 네트워크 이전에는 기업, 가정, 학교에서 컴퓨터망을 구축하려면 수많은 케이블을 벽과 천장을 통해 연결하여 건물 내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였다.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하면 네트워크 사용자들은 선 없이, 아니면 선을 거의 쓰지 않는 네트워크 접속 장치를 추가할 수 있다. 오늘날의 WAP는 케이블링 보다는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표준을 지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 쓰이는 표준들과 주파수들은 IEEE가 정의한다. 대부분의 WAP들은 IEEE 802.11 표준을 이용한다.
(IEEE 802.11은 유선 LAN 형태인 이더넷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고안된 기술로, 이더넷 네트워크의 말단에 위치해 필요 없는 배선 작업과 유지관리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널리 쓰이고 있다. 보통 폐쇄되지 않은 넓은 공간(예를 들어, 하나의 사무실)에 하나의 핫스팟을 설치하며, 외부WAN과 백본스위치, 각 사무실 핫스팟 사이를 이더넷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핫스팟부터 각 사무실의 컴퓨터는 무선으로 연결함으로써 사무실 내에 번거로이 케이블을 설치하고 유지보수를 하지 않아도 된다.)
'IT > IT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본스위치 (0) | 2015.08.19 |
---|---|
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0) | 2015.08.11 |
전원분배장치 PDU(Power Distributor Unit) (0) | 2015.08.07 |
라우터(Router) (0) | 2015.08.06 |
Server Rack (0) | 2015.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