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레이드 서버

IT/IT용어 2015. 8. 4. 20:29

1. 블레이드 서버(기본 )

일반적으로 서버 장비는 한 장비에 1개의 OS가 올라간다.(가상화나 Lpar, Vpar와 같은 개념 제외한 보편적으로)

그럼 한장비가 4U 크기의 서버라고 가정하면(U는 랙 1칸의 단위)

4U장비 한개가 들어가야 1개의 OS가 구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블레이드 장비의 경우 사용가능한 모듈 만큼의 OS가 사용된다.

일반서버가 한 랙에 4U 짜리 10개 서버를 구동시켜 10개의 OS를 작동시킨다면,

블레이드 서버는 10U 장비 하나를 넣고 10개 이상의 OS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 서버는 내부적으로

네트워크 가상화와 같은 기술이 있기에 별도에 L2 Switch 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2. 블레이드 서버 장점

1. 고속의 연결망(High-speed Connectivity)

여러 블레이드들을 연결하기 위해서 특별히 고안된 high-speed 연결방식을 상용하는데 있다.

고속 연결망은 블레이드 간의 초당 수 기가비트 수준으로 통신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빠른 데이터 교환을

통해서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고밀도(High Density) 및 확장성

기존의 랙 마운트 형태의 클러스터 서버는 고속의 케이블 형태가 주요 연결 방식이다. 따라서 연결 대상이 많아질수록

더 넓은 공간과 잡한 케이블 배선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블레이드 서버의 연결 인터페이스는 슬롯 형태로 주 연결망에 세

로로 꽂게 구성되어 있어서 존의 랙 마운트 형태의 클러스터 서버와 같은 복잡한 케이블 연결이 필요없게 된다. 즉 블레

이드 서버에서 채용한 슬롯 형태의 연결 방법은 나의 섀시에 프로세서, 메모리, 연결 인터페이스 등이 포함된 작고 얇게 

모듈화된 블레이드를 여러개 담을 수 있게 된다.

 

3. 적용성(Deployment)

블레이드 서버에서 각각의 블레이드는 용도에 따라 쉽게 특화될 수 있다. 이러한 블레이드로 구성된 블레이드 서버는 

웹 서버, FTP서버, 메일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등 특화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시에 많은 사용자가 

액세스하는 웹 서버인 경우, 액세스되는 웹페이지에 더 많은 프로세싱 블레이드를 배치하거나, 고속의 인터넷 연결망으로 

연결된 웹 캐싱용 블레이드를 배치함으로써 보다 빠르게 사용자 액세스 요구를 처리할 수 있다.


3. 블레이드 서버 단점

고가(高價)라는 점, 단위 공간당 전력 소모량이 크다는 점, 개별적인 시스템의 업그레이드가 어렵다는 점 등이 있다. 그래서 데

이터센터에는 블레이드 서버를 입주시키기 아주 어렵다. 

 

4. 블레이드 서버의 구성

블레이드 서버는 크게 블레이드와 섀시로 나눈다. 블레이드는 연산을 담당하는 서버 블레이드, 연결망을 관리하는 스위치 

블레이드, 네트워크와 I/O 결을 담당하는 제어 블레이드, 특정 용도에 맞게 설계된 블레이드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섀시는 블레이드에게 연결망을 제공하고 전원도 공급한다. 일반적으로 블레이드와 섀시는 블레이드는

제조 회사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를 갖고 있다.



'IT > IT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원분배장치 PDU(Power Distributor Unit)  (0) 2015.08.07
라우터(Router)  (0) 2015.08.06
Server Rack  (0) 2015.08.06
침입 탐지/방지 시스팀(IDS / IPS)  (0) 2015.08.05
VPN (Virtual Private Network, 가상 사설망)  (0) 2015.08.04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